Tasty Coffee & Olive Holic

한 잔의 커피를 완성하는 과정–커피 생산부터 추출까지

tourholic7 2025. 3. 19. 07:28

우리가 매일 마시는 커피 한 잔은 단순한 음료가 아니다.
커피 체리가 열매를 맺고, 가공과 로스팅을 거쳐, 

다양한 방식으로 추출되기까지 수많은 과정을 거친다.
한 알의 커피 씨앗이 한 잔의 커피로 변하는 과정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숨어 있을까?
이제 커피의 긴 여정을 따라가 보자

☕ 1. 커피의 출발점 – 커피 재배

📍 주요 커피 산지
커피는 주로 적도 주변 ‘커피 벨트’(Coffee Belt) 지역에서 재배된다.

대표적인 생산국은 다음과 같다.
1️⃣ 에티오피아 – 커피의 발상지, 복합적인 향미
2️⃣ 브라질 – 세계 최대 생산국, 부드럽고 고소한 맛
3️⃣ 콜롬비아 – 균형 잡힌 맛과 산미
4️⃣ 케냐 – 밝고 선명한 산미, 과일향
5️⃣ 인도네시아 – 묵직한 바디감, 스모키한 풍미
6️⃣ 베트남 – 세계 최대 로부스타 생산국, 강한 바디감과 쓴맛
7️⃣ 파나마 – 세계적 명성의 게이샤 커피 생산지, 복합적인 향미와 부드러운 단맛
8️⃣ 과테말라 – 화산 토양에서 자라난 커피, 초콜릿과 견과류 향이 특징
9️⃣ 코스타리카 – 워시드 가공으로 깔끔한 맛, 밝은 산미와 단맛 조화
🔟 자메이카 – 블루마운틴 커피로 유명,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향미

🌱 커피 품종
커피는 크게 아라비카(Arabica) 와 로부스타(Robusta) 두 가지로 나뉜다.
1️⃣ 아라비카:

고급 커피로 산미와 향미가 뛰어남, 고지대에서 재배됨
2️⃣ 로부스타

강한 쓴맛과 높은 카페인 함량, 주로 인스턴트 커피에 사용

커피재배

 

☕ 2. 커피 체리에서 원두로 – 가공 과정

커피 체리는 수확 후 다양한 가공 방식을 거쳐 원두로 변한다.

대표적인 가공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워시드(Washed, 습식 가공)
물을 이용해 체리의 과육을 제거한 후 건조하는 방식
깨끗하고 선명한 맛, 밝은 산미가 특징
🌞 내추럴(Natural, 건식 가공)
커피 체리를 그대로 햇볕에 말려서 과육을 자연 건조
단맛과 과일 향이 강하고 바디감이 묵직함
🍯 허니(Honey, 반습식 가공)
과육을 일부 남긴 상태에서 건조해 단맛과 바디감을 강화
과육 잔여량에 따라 화이트, 옐로우, 레드, 블랙 허니로 나뉨

커피원두가공

 

☕ 3. 커피의 개성을 결정하는 로스팅(Roasting)

가공된 생두(Green Bean)는 로스팅 과정을 거쳐

우리가 익숙한 갈색 원두가 된다.

로스팅 강도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 로스팅 단계
1️⃣ 라이트 로스트

신맛과 향미가 강조됨 (스페셜티 커피에 적합)
2️⃣ 미디엄 로스트 

산미와 단맛의 균형이 좋음

3️⃣ 다크 로스트

쓴맛과 바디감이 강하며 오일리한 질감

로스팅은 커피의 성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원두별 최적의 로스팅 포인트를 찾는 것이 핵심이다.

커피원두로스팅

 

☕ 4. 원두에서 커피로 – 그라인딩과 추출

커피를 마시기 직전, 원두를 갈아 추출해야 한다.

분쇄도(Grind Size) 는 추출 방식에 따라 다르다.
⚙️ 분쇄도와 추출 방식
1️⃣ 굵은 분쇄 (프렌치프레스, 콜드브루)

바디감 강조, 추출 속도 느림
2️⃣ 중간 분쇄 (핸드드립, 커피메이커)

균형 잡힌 맛
3️⃣ 가는 분쇄 (에스프레소, 모카포트)

진하고 강한 맛, 크레마 형성
분쇄도가 맞지 않으면 커피 맛이 변질될 수 있으므로,

추출 방식에 맞게 조절해야 한다.

커피원두그라인딩

 

☕ 5. 추출 – 커피를 완성하는 마지막 과정

커피를 어떻게 추출하느냐에 따라 같은 원두라도 맛이 크게 달라진다.

대표적인 추출 방법을 살펴보자.
1️⃣ 핸드드립 (Pour-Over)
물을 천천히 부어 추출하는 방식, 섬세한 향미 표현 가능
대표적인 기구: V60, 칼리타 웨이브, 클레버 드리퍼
2️⃣ 에스프레소 (Espresso)
고압으로 빠르게 추출하여 진한 농도와 크레마 형성
라떼, 카푸치노 등의 베이스가 됨
3️⃣ 프렌치프레스 (French Press)
원두의 오일과 풍미를 최대한 살려 깊고 묵직한 맛
4️⃣ 콜드브루 (Cold Brew)
차가운 물로 12~24시간 추출하여 부드럽고 단맛이 강조된 커피
5️⃣ 모카포트 (Moka Pot)
압력을 이용하여 진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

에스프레소와 유사한 강한 풍미
스토브 위에서 간편하게 만들 수 있으며,

가정용 커피 추출 방식으로 인기

커피추출

 

☕ 6. 결론 – 한 잔의 커피, 수많은 여정을 거쳐 탄생하다

우리가 마시는 커피 한 잔은 단순한 음료가 아니다.
🌱 커피 체리가 열매를 맺고 → 

☀️가공과 로스팅을 거쳐 →

🔥 추출까지, 수많은 과정과 노력의 결과물이다.

매일 마시는 커피 한 잔 속에는

자연, 과학, 그리고 사람들의 정성이 담겨 있다.